2009. 9. 21. 07:44

자주 방광염에 걸려서 오는 여성 환자가 몇명 있는데, 그중 한 환자가 최근에 크랜베리쥬스에 대해서 문의한적이 있었다.
"크랜베리쥬스를 먹으면 방광염에 도움이 되나요?"
"약간 도움이 되기도 하는데, 근데 약먹는 것이 더 좋죠."

실제로 크랜베리쥬스의 광고를 할때 요로감염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고 광고하는 경우가 많다. 그럼 실제로 도움이 되는 경우가 어떤 경우일까?

우선 크랜베리는 우리나라에서는 꽤 생소하지만, 미국등에서는 포도처럼 잘 알려진 과일이다. 실제로 나역시 이 크랜베리를 직접 보지는 못했다. 이 크랜베리가 1962년도에 요로감염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발표된 이후부터 크랜베리를 이용하여 요로감염을 치료 혹은 예방하고자 하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발표되어 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by colodio at flickr.com)

크랜베리가 그럼 어떤 기전으로 요로감염에 효과적으로 작용할까?
요로감염의 약 80% 이상은 보통 대장균때문에 발생하는데, 대장균이 방광이나 요관, 신장의 세포에 붙어 기어올라갈 수 있는 발 (정확하게 말하자면 type 1 fimbriae 혹은 P fimbriae) 을 가지고 있어 요로감염이 생긴다. 크랜베리쥬스를 먹으면 크랜베리쥬스 속에 있는 과당이나 여러 성분이 앞서 이야기한 대장균의 발을 무용지물로 만드는 것으로 현재 밝혀지고 있다. (참고 1)

그러나 위와 같은 이론과 실제로 적용하는 것은 다르다.
그럼 실제로 크랜베리쥬스를 먹으면 실제로 요로감염에 효과적일까?

지금까지 나온 연구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나온 결론은 특별한 이상이 없는 젊은 여성의 요로감염의 빈도를 1년의 기간동안에 약 35%정도로 감소시켜 준다는 것이다. 현재 요로감염이 있거나,  남성이거나, 신장이나 방광에 해부학적이나 기능이상이 있는 여성이거나, 혹은 나이가 많은 여성의 경우에는 크랜베리쥬스를 먹어도 예방효과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참고 2,3)

 부작용은 어떨까? 자연식품이라서 부작용이 전혀 없을까?

실제로 많은 연구에서 보면 크랜베리쥬스를 지속적으로 먹음으로 인해서 많은 경우 속쓰림등을 호소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복용으로 과잉의 칼로리 섭취로 안한 비만 등을 호소하여 환자들중 약 절반정도가 크랜베리쥬스의 복용을 중단한다고 한다. (참고 1)

또한 아직까지 크랜베리쥬스를 하루에 어느정도 마셔야 하는지 정해진 양이 없고 (보통의 연구에서는 150ml에서 400ml까지 있으며 하루 약 300ml정도 복용하는 연구가 가장 많다.), 이에 대한 비용도 좀 든다. 인터넷으로 보니 크랜베리쥬스 3리터가 약 1만원정도 하는 것 같은데, 그럼 하루 300ml 복용한다고 하면 한달에 약 3만원정도로 계산된다.

특히 뇌경색이나 심장질환등으로 와파린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들에게 크랜베리쥬스는 와파린의 기능을 더 강화시켜 비록 일시적이라고 하지만, 출혈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삼가하는 것이 좋겠다. (참고 4,5)

 

<참고문헌>
1. Cimolai N, et al. The cranberry and the urinary tract.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2007;26):767-776
2. Guay DR. Cranberry and urinary tract infections. Drugs 2009;69:775-807
3. Jepson RG, et al. Cranberries for preventing urinary tract infection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 Jan 23;(1):CD001321
4. Paeng CH, Interaction between warfarin and cranberry juice. Clin Ther 2007;29:1730-1735
5. Ansell J, et al. The absence of an interaction between warfarin and cranberry juice: a randomized, double-blind trial. J Clin Pharmacol 2009;49:824-830

Posted by 두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