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4. 5. 00:43

간혹 진료를 하다 보면 남성들이 소변을 다 본 후에 바지를 올리니까 소변이 찔끔 나온다고 걱정하면서 찾아온다.
대부분은 요실금이 아니냐고 걱정들을 많이 하곤 한다.
간혹 이런것들이 너무 많이 알아 앞서나가는 경우로 난 생각한다.

요실금의 정의는 자기도 모르는 새에 소변이 찔끔 나오는 경우로 대부분은 중년의여성분들에게 잘 발생되는 병이다. 물론 남성도 요실금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남자의 경우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먼저 해부학적으로 보자면 여성의 경우 요도의 길이가 4cm로 매우 짧고 임신등으로 해부학적인 이상이 생기기 때문에 요실금이 잘 발생한다.

그러나 남자는 요도의 길이만 따지면 약 15~20cm로 매우 길다. 또한 방광 바로 밑에는 전립선이라는 조직이 있으며전립선 바로 밑에는요도괄약근이 존재한다.또한 임신등의영향을 받을 수는 없다.남성이 요실금이 생기려면앞서 이야기한 방광, 전립선, 요도괄약근 및 긴 요도에 이상이 있어야 한다.

그 이상을 한가지씩 들어보면....
방광은 신경학적인 이상소견...대표적으로 당뇨가 있는 분들이 방광기능이상으로 소변을배출 못하고요폐증상이 있을때 찔끔한다. 즉 소변이 마려워 보려고 해도 보지 못하고쉽게 말해 넘쳐서 새는 것이다.
전립선은.....대표적으로 전립선비대증이 심한 경우 위와 마찬가지로 요폐증상이 있어 넘쳐서 찔끔 새는 경우이다.
요도괄약근은 간혹 전립선암등의 수술로 인해서 요도괄약근이 약해진 경우여성들처럼 요실금이 생길 수 있다.
긴 요도에서는 간혹 선천적으로 요도게실이 있거나 하면 소변이 게실내에 저장되어 있다가 찔끔 생길 수 있다.

자....그럼 앞서 제목과 같이 바지를 올릴때 소변이 약간 흘러나오는 경우는?
물론 나이가 있는 어른들의 경우 전립선비대증이 있어 소변을 잘 배출 못하고 찔끔거리는 경우는 흔히 있기는 하다. 그러나 다 봤다고 바지를 올리는 와중에서 소변이 잠시 흘러나오는 경우는 약간 다른 것 같다.

나의 경험과 지석으로 보면 남성의 경우 요도가 길기 때문에 소변을 다 봤다고 빨리 바지를 올리는 경우 요도 끝에 남아있는 소변이 잠깐 흐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요도의 해부학적인 모양을 보면 된다.
요도구경이 가장 넓은 곳은 물론 구부요도(bulbous urethra) 로 안쪽의 요도이지만 음경의 끝에도 약간 넓어지는 귀두요도(glandular urethra) 부위가 있다.

급하게 소변을 보고 나가기 위해 바지를 올리는 경우 요도끝에 약간 넓어지는 부위 즉 귀두요도부분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남아있던 소변이 흘러 바지를 적시는 것으로 난 생각한다. 더 급한 경우에는 구부요도에 남아있는 소변도 같이 나오지 않을까 한다.

또한 나이가 들면 우리몸의 다른근육들이 탄력을 잃게 되듯이 요도주위의 근육들도 탄력을 잃게 되어 요도에 남아있는 소변을 충분히 배출해주지 못하게 된다.


현대인들이 아무리 바빠도 화장실만큼은 여유를 가지면 안될까?
여유를 가지고 소변을 충분히 본 다음에 바지를 올리도록 하자. 그렇게 해서도 바지에 소변을 약간 적신다면 한번 보는 소변을 두번 본다고 생각하고 좀 더 있다가 다시 소변을 보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자.

물론 앞서 이야기한 다른 질병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의사의 진찰은 필수적이다.

나 역시 이렇게 생각을 하지만 나도 환자때문에 바쁠때가 있으면 급하게 바지를 올리느라고 팬티를 적신 기억이 간혹 있기는 하다....
Posted by 두빵
2008. 3. 25. 14:19
언제부터 커피를 먹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나의 생활에 있어서도 커피는 더이상 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되었다.
이전에는 커피믹스나 다방커피를 자주 먹었지만, 언제부터인가 갑자기 생긴 스타벅스, 커피빈등에서 파는 커피가 입맛에 맞게 되었다. 이전에 즐겨 먹던 모지역의 글로리아진스는 왜 없어졌는지..궁금하기만 하다. 그 커피도 참 맛있었는데 말이다.
(출처 : 오마이뉴스)

각설하고...간혹 환자들이 긴장할때 커피를 먹으면서 소변이 자주 마렵다고 한다. 또한 방광이 예민하여 약을 투여하는 경우 별로 효과가 없다고 할때 물어보면 커피를 자주 먹는 경우가 있다. 이런경우 커피를 중지하면 소변이 자주 마려운 증세가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커피의 효능이야....다들 잘 알겠지만, 각성효과가 있어 긴장시 혹은 잠이 올때 우리몸의 대사를 더 활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근데 의외로 방광에 대한 기능은 잘 모르는 것 같다. 위의 커피의 효능은 주로 카페인때문에 일어난다.





(참고문헌 4에 나온 여러가지 음식의 카페인 농도)


기본적으로는 신장에서 이뇨작용을 하기 때문에 소변을 많이 만들어낸다. 그래서 소변을 자주 가기도 한다. 이에 더하여 덧붙이고 싶은 말은 방광을 더 민감하게 한다는 것이다.

모든 근육은 칼슘의 농도가 증가하면 수축하게 된다. 똑같이 방광의근육도 칼슘의 농도가 높아지면 방광수축력이 높아지는데, 동물실험에서 실험한결과를 보면 카페인으로 처리한 동물의 방광근육의 칼슘농도가 높아졌으며(참고문헌 1), 사람 역시 카페인을 복용하면 방광내압을 측정할 수 있는 요역동학검사에서 방광의 수축으로 인해서 방광내압이 증가된다고 한다(참고문헌 2).

소변이 자주 마려운 증세가 방광이 불안정해서 그럴 수 있는데, 방광의 불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하루 100mg이하의 카페인을 먹은 환자의 경우 보다 100-400mg, 또는 400mg이상의 카페인을 복용한 환자들의 경우 방광의 불안정성이 1.5배, 2.4배 이상 증가하여 이에 대해서 주의를 하여야 한다고 한다. (참고문헌 3)

그럼 카페인을 줄이면 방광의 안정에 도움이 될까?
최근에 200-300mg의 카페인을 복용하는 사람들을 두군으로 나누고 이들의 조건을 똑같게 만들면서 치료를 하면서 한쪽은 카페인을 계속 복용하였고, 다른 한쪽은 100mg 이하로 카페인을 줄여보았더니, 카페인을 줄인 군에서는 61%나 방광이 안정되었는데, 카페인을 계속 복용한 군에서는 12%정도밖에 좋아지지 않았다고 한다.(참고문헌 4)

자....그럼....소변이 자주 마려운 분들은 한번 커피 (카페인이 많이 든 음식은 다 그렇다. 즉 차와 콜라등도...)를 중지는 못하더라도 줄여보자....

호전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 Lee JG, Wein AJ, Levin RM. The effect of caffeine on the contractile response of the rabbit urinary bladder to field stimulation. Gen Pharmacol 1993;24:1007–11.
2. Creighton SM, Stanton SL. Caffeine: Does it affect your bladder? Br J Urol 1990;66:613– 4.
3. Arya LA, Myers DL, Jackson ND. Dietary caffeine intake and the risk for detrusor instability: a case-control study.
Obstet Gynecol. 2000;96:85-9.
4. Bryant CM, Dowell CJ, Fairbrother G. Caffeine reduction education to improve urinary symptoms. Br J Nurs 2002;11:560-5.
Posted by 두빵
2008. 3. 18. 21:27
최근 방광염에 걸린 여성환자와 나눈 이야기이다.
"방광염의 원인이 뭔가요?"
"직장등의 항문에 있는 대장균이 방광으로 와서 생깁니다."
"전 비데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래도 걸리나요?"
이런 대화가 오갔다.

많은 사람들이 비데를 사용하면 방광염등의 염증과 치질등에 좋으며, 최신기종은 관장도 해준다고 믿고 있다.


치질에 좋은지.....관장도 할 수 있는지는 일반외과선생님께 문의하도록 하자....
방광염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우선 비데의 기원에 대해서,

Bidet는 프랑스어며, 원래 15세기경에 프랑스 귀족사회에서 기르던 애완용 조랑말을 가르키던 단어였다. 이것이 19세기 들어서는 유럽에서 만들어진 피임기겸 관장기가 조랑말과 닮은 모양으로 이러한 세정기구를 나타내는 말이 되었다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몇년전만 하더라도 부자집에서나 볼 수 있던 것인데, 최근에는 일반가정 및 회사에서도 볼수가 있다. 간혹 선전에서도 나온다. "사장님, 우리로 OO 설치해주세요."라고.....우리집에도 설치가 되어 있으니....참 많이 보급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비데는 대변후 화장지로 닦는 것보다는 간편하고 물로 세척하므로 세척효과도 크다. 그리고 화장지로만 닦으면 다 닦이지 않는 곳까지 말끔하게 해주는 기능이 있다. 그래서 치질에 매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물론 정확하게 사용하면 방광염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왜냐면 정확하게 항문에만 물을 뿌려 세척하고 질쪽으로 가지 않는다면 항문주위의 대장균을 없앰으로서 방광염을 예방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하게만 쓰고 적절하게 쓰면 치질및 방광염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과연 항문주위로 정확하게 물로 세척할 수 있는지는 잠시 생각해 볼 일이다.왜냐면 좌변기에 앉는 자세가 모두 제각기 다른 상황에서 일정한 길이로 나오는 비데의 물줄기가 그것을 다 맞춰 주는지는 잘 모르겠다. (난 비데를 쓰지 않는다. 그래서 더 잘 모르는 상황이다.)
만일 항문주위만 정확하게 물이 묻는 것이 아니라 이 항문주위의 튄 물이 질이나 요도입구로 가면 오히려 질염이나 방광염을 더 조장하는 결과가 된다.
이럴 사람은 없겠지만, 만일 방광염 예방하겠다고 비데를 요도에 직접 조준하는 것은 방광염을 오히려 더 조장하는 것이다.

또한 여성의 질내부에는 대부분 락토바실러스 즉 우리말로 유산균이 존재하여 유지하고 있는데 비데의 물로 질내부가 씼겨 내려가 버리면 질내부 상태가 변하여 해로운 세균이 들어올 확률이 높아진다. 이때 발생하는 것이 세균성 질염이다.
또한 항문의 대변과 섞인 물이 요도로 튄다면 항문에 있던 대장균에 물에 섞여 요도로 바로 오게 된다. 이러면 바로 방광염으로 갈 수 있는 확률을 더 높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비데를 사용한 뒤에 습기를 제거하지 않으면 습한 환경에서 곰팡이균이 자라 진균성 피부염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요즘에는 특히 휴대할 수 있는 개인용 비데도 있던데, 그런 경우 정확하게 항문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지는 정말 의문이다.

최근에는 비데가 공공화장실에 설치가 되면서 비데자체의 위생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즉 비데를 관리를 하지 않아 오히려 비데를 정확하게 사용하더라도 오히려 더 세균에 감염이 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기사도 인터넷에 있다.






(좌측 사진은 실제로 우리나라의 공공장소에 설치된 비데의 상태로, 균배양검사결과 황색포도상구균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출처 : 울산뉴스)




사족인데.....

난 비데를 사용하지 않는다. 앞서 이야기한 이런 이유는 아니라, 비데의 물줄기가 항문에 닿는 느낌이 싫어서 쓰지 않고 있는 것 뿐이다. 대신 화장지를 사용하지만 매번 대변을 본 후 샤워기 물과 비누로 깨끗이 씼고 딲는다. 이런 이유로 대변은 항상 집에서 본다. 여행을 가거나 피치 못한 사정시에는 샤워를 할 수 있는 곳에서만 대변을 본다. 아마도 나만의 옵세시브한 생각때문일 것이다.

Posted by 두빵
2008. 3. 8. 23:21
인터넷 글을 읽다가 병원마다 왜 제각각 처방을 내리는가에 대한 글을 읽었다.

일반인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지만 왜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인지 ...그리고 그 불신을 해소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잠시 글을 올려본다.

먼저 내가 글을 올리게 된 원글에 대해서 한번 읽어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http://swingwitch.tistory.com/302

원글에 대해서는 원형탈모증에 대해서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일반화를 시킨 글로 생각된다. 물론 사람이 모든 경험을 할 수 없으므로 보통은 자신의 경험에 의해 일반화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하자.
내가 알고 있기로도 원형탈모증의 가장 일반적인 치료는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을 가장 흔히 쓴다. 그외 연고 도포도 쓸수 있다. 이외에도 수많은 약물치료가 있다.

자 그럼 원글인이 경험한 첫번째 의사의 경우 내가 보기에는 가장 일반적인 치료방법을 시행하였다. 또한 치료도 잘 한것으로 생각된다. 그럼 뭐가 문제일까?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은1-2달뒤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문제는 원글인이 주위사람의 말만 믿고 일시적으로 잠시 빠지는 것을 못참고 다른 의사에게 간 것이다.

그럼 두번째 의사의 경우도 똑같이 주사요법을 권장하였으나 원글인이 일단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물론 연고 도포요법을 정말로 몰랐는지는 확인해봐야 알겠지만, 도포요법으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알려주는 성의까지 보였으나, 원글인이 거부하는 모습으로 아마도 내생각으로는 랍보(환자와 의사의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하에 1차의료기관보다는 더 큰 병원으로 전원하려 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이같은 행동이 잘 한것인지 잘못한것인지는 논의외로 한다.

원글인이 세번째로 경험한 의사 역시 주사요법을 권장하였으나, 환자가 일단 먼저 거부하니 그 의사는 환자의 그 맘을 이해하며 환자가 원하는 치료를 해준다. 또한 친절하게 치료하다가 안되면 주사요법으로 다시 시행해야 된다고 알려준다.

종합적으로 보면 내 생각으로는 첫번째 의사가 놔준 주사요법으로 인해서 일시적으로 증상악화가 되는 과정에 주위사람의 말에 다른 의사를 찾았으나 그 의사는 신뢰가 생기지 않고, 세번째로 간 의사에게서 환자가 원하는 치료를 받고 첫번째 의사가 놔준 주사요법에 의해서 나타난 효과를 세번째의사가 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심하게 말을 하면 말이다. 물론 이 추리가 100% 옳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나는 비뇨기과 의사이므로 내 전공분야에서 가장 환자가 흔하게 앓고 있으며 여성이 겪을 수 있는 질환으로 방광염을 예로 들겠다.

방광염은 일반인이 알기로는 간단한 병으로 알고 있을 듯하다. 물론 정말로 방광염이라면 간단하게 약물요법으로 며칠간만 복용하면 치료가 된다. 그러나 방광염을 가장한 다른 질환들이 무척 많다. 이중에는 방광암도 있다.
따라서 나는 방광염으로 오는 환자를 보면서 항상 머리속으로는 많은 계산을 한다. 결석이 있을 수 있으므로 초음파 검사 또는 경정맥요로조영술을 시행해야 하나.....암이 의심할 수 있으므로 암세포검사나 방광내시경을 해야 하나...경우에 따라서는 CT를 해야 되나....
이때 또 중요한 것이 있다. 이런 검사를 권유할때 그 환자가 받아들일 것인가를 봐야 한다.

내가 대학병원에 있을 때 본 환자의 경우 젊은 여자인데 1-2년간 방광염으로 병원에서 계속 치료받았으나 계속 재발하고 재발하고 하여 종합병원으로 내원하였을 때 당시의 환자에 대한 감으로 방광내시경을 하여 방광암을 진단내린 경우를 봤다. 원글인이 원하는 표준적인 치료 ... 즉 방광염 증세에 대해서는 다른 검사없이 약물치료만 다른 의사들도 당연히 약물치료를 선택하여 이 경우 오히려 환자에게 더 손해가 간경우이다. ( 이때 먼저 치료한 의사의 처방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당연히 방광염증세였으므로 일반적으로 옳은 치료를 했다. 그럼 대학병원의 의사는? 이상하지 않은가? 왜 약물치료를 하지 않고 바로 방광내시경을 했을 까? )

또 다른 경우인데 .... 방광염으로 내원한 약간의 중년의 남자에게 균배양검사를 본뒤 나는 느낌이 이상하여 x-ray사진을 찍었다. 찍고 나서 나 자신도 놀랐다. 왼쪽 신장에 사슴뿔 결석 (신장을 가득 채우는 결석)이 발견된 것이다. 이런경우 대학병원에서 바로 수술을 해야 한다. 이때 감으로 x-ray 사진을 찍지 않았다 하더라도 나의 치료에 대해서는 아무런 하자는 없다. 즉 방광염에 대한 일반적인 조치는 다 했다는 것이다. 단지 다른 것이 있다면 감으로 사진 한장 더 찍은 것으로 그 환자에게는 다행이며 나에게는 그 환자에게 명의라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내가 명의가 아니라는 것은 나 역지 잘 안다.)

자 이제 결론을 내보자.
사람은 기계가 아니다. 또한 같은 증상을 보일지라도 그곳에 숨어있는 수많은 다른 질환을 항상 생각해야 된다. 또한 의사도 사람이기에 자기가 배운 환경내에서 생각하게 된다. 환자도 제각기 환자 상태가 달라 같은 병이라도 전신상태와 환경에 따라 다른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병원마다.....더 정확히 말하면 의사마다 일반적인 치료를 할 수도 있지만, 의사의 경험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른 처방을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또한 원글인은 의학에 대한 지식을 백과사전에 의지하여 기술하고 있다. 물론 일반적인 이야기에서는 맞는 이야기이다. 안정이 물론 좋긴 하다. 그러나 기껏 병을 찾아 병원에 갔는데 요새 보험공단에서 하는 광고처럼 집에서 푹 쉬라는 이야기를 듣는다면 그 의사에게 다시 오고 싶은 느낌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안정이 우선이라는 이야기를 하지 않은 의사의 불찰도 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의사의 추적관찰이다. 의사도 사람이기에 100% 병을 다 진찰하고 치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 그 잘못된것을 다시 바로 잡는 것은 당신의 병을 잘 알고 있는 진찰한 의사에게 좋은 신뢰관계와 추적관찰을 함으로서 미스할 수 있는 질환을 찾아내게끔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덧붙이는 것은 의사도 좋은 의사가 있을 수 있고 나쁜 의사가 있을 수 있다. 의사가 항상 옳다는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Posted by 두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