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9. 6. 12:25

최근에 아는 지인분이 운동하면서 크레아틴(creatine)을 복용하는데, 건강검진에서 콩팥기능이 57% 나와서 걱정하면서 나에게 물어보는 일이 있었다. 이에 관심을 가지고 크레아틴이라는 보충제에 대해서 잠시 찾아보았다.

 

일단 크레아틴은 의료기관 건강검진할 때 신기능검사를 하는 크레아티닌(Creatinine) 이라는 혈액수치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단 그림을 보자.

 

 

위 그림을 보면서 몇가지 정리를 하자.

 

1. 우리몸에 크레아틴은 대부분(94%)은 근육(심장근육도 포함)에 저장되어 있다. 그외 소량이 뇌,망막,정자에 일부 있다.

2. 근육에서는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ATP와 크레아틴 물질이 반응하여 에너지를 얻고 포스포릴화크레아틴으로 변성된다.

3. 근육의 크레아틴과 포스포릴화크레아틴은 혈관, 콩팥을 통해서 소변으로 배출된다.

4. 먹는 크레아틴 외에도 우리몸은 신장에서 아르기닌, 클라이신이 간으로 가서 메티오닌과 결합하여 크레아틴이 생성되기도 한다.

 

운동선수들은 기록단축을 위해서 근력의 힘을 키우기에 힘쓰는데, 금지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anabolic steroid)를 대신하여 1990년대에 영국의 스프린터들이 크레아틴을 복용하여 성공한 이후로부터 최근에 많이 쓰이게 되었다.

 

우리몸은 근육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얻어야 하는데 중학교 생물시간에 배웠듯이 ATPADP로의 변환과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심한 운동시 단 몇초만에 ATP가 다 소진된다. 이후 포스포릴화크레아틴이 ADPATP로 바꾸어 10초까지 에너지를 공급할수 있다.  이때 인위적으로 크레아틴을 복용하게 되면 포스포릴화크레아틴의 농도에 영향을 주고 이게 ATP를 더 증가하여 근육의 능력이 더 늘어날수 있다는 것이다.

 

찾아보니 운동선수들은 크레아틴을 복용할 때 하루에 20-30g 의 부하용량(loading dose)를 거쳐서 이후 하루에 2-5g으로 유지하는 것 같은데, 아마도 이것은 우리몸의 크레아틴 배설능력이 하루 2g 이라는 사실에 맞춰서 정해놓은 것 같다.

 

우리가 보통 정상적으로 먹는 음식으로 원래는 하루 유지용량을 다 채울수 있는데, 인위적으로 근력을 위해서 크레아틴을 더 복용한다면 당연히 위 그림의 대사과정을 통해서 우리몸의 혈액내의 크레아티닌 수치를 올릴수 있다.

 

보통 건강검진에서 콩팥기능을 알려줄 때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과 나이를 사용한 공식으로 표시하는데, 최근에는 MDRD 공식을 많이 사용한다. 이것의 문제점은 정상인의 콩팥기능 수치를 약간 적게 표시할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한다.

MDRD 공식 (대한신장학회) : www.ksn.or.kr/sub10/sub_n_03.html

 

처음에 말한 지인은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1.4 mg/dl 이였으며 MDRD 공식으로 나온 것이 57% 라고 되어 있어서 아마 콩팥기능이 좀 떨어져 있다라는 결과를 통보받았을 것이다.

 

따라서 이분은 크레아틴 복용을 좀 멈춰보고 나중에 건강검진을 다시 해보면 정상으로 좀 나오지 않을까?

 

[참고문헌]

Wyss M, Kaddurah-Daouk R.  Creatine and creatinine metabolism. Physiol Rev. 2000 Jul;80(3):1107-213. 

Posted by 두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