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1. 20. 16:31

최근에 모 지인에게서 이 동영상이 정말로 효과 있냐고 문의하는 경우가 있어서 동영상을 좀 흥미롭게 봤다.

 

페낭어부라는 유투버가 스스로 요로결석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동영상인데, 요지는 몸을 거꾸로 해서 요로결석을 후진시킨다는 이론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www.youtube.com/watch?v=YldQsGj_b2k

 

물론 유투브 동영상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이야기했다고 써 있지만 그분의 경험일뿐이고, 다른 환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주는것 같아서 잠시 글을 써본다. 

 

 

위동영상에서 이야기했듯이 신장에서 요관으로 내려오는 길은 깔떼기모양인것은 맞다. 근데 그 깔떼기가 주둥이가 굉장히 길쭉하게 나오느 깔떼기 모양이다. 

위그림에서 표시한 빨간점으로 표시한곳이 요관에서 요로결석이 가장 잘생기는 위치이다. 

mm 숫자는 요관의 직경을 말하는데, 방광입구가 가장 직경이 작아서 거기서 많이 요관결석이 걸린다. 

 

 

일단 저 유투버의 설명에서 좀 잘못된 점을 말하자면, 

1. 요로결석으로 통증이 발생된다면 일단 요관이 굉장히 민감한 조직이기 때문에 요로결석주변으로 부종이 생긴다. 쉽게 이야기해서 꽉 끼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몸을 거꾸로 한다고 요로결석이 후진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2. 좀 더 양보해서 저 유투버 이야기가 가능성이 있을려고 한다면 신장에 아주 가까운 신장과 요관 사이의 경계부분에 요로결석으로 증상이 있을때 몸을 거꾸로 해서 통증이 없을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3. 또 더 양보해서 저렇게 요로결석이 후진했다고 하더라도 다시 서면 중력때문에 요로결석이 전진하면서 통증이 다시 발생할가능성이 높다. 

 

 

비뇨의학과에서 저런 포지션을 쓰는 방법이 있는데, 저런 자세를 영어로 upside down position 혹은 invertion physiotherapy 라고 한다. 보통은 요관결석이 아니라, 신장에 있는 결석을 요관으로 빼낼때 사용하는 방법일수 있고, 요로결석을 치료하는 체외충격파쇄석술을 하면서 보조적인 치료방법으로 할수 있고, 관련 논문의 사진들이 있다. 

Tolon, M., et al. (1991).  A Report on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Results on 1,569 Renal Units in an Outpatient Clinic. The Journal of Urology, 145(4), 695–698.
Pace KT, et al. Mechanical percussion, inversion and diuresis for residual lower pole fragments after shock wave lithotripsy: a prospective,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Urol. 2001 Dec;166(6):2065-71.

 

요로결석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남의 말을 듣는것 보다, 통증이 있으면 이게 요로결석으로 인한 통증인지 우선 먼저 비뇨의학과에 가서 진찰및 검사를 받아보고, 요로결석이 있으면 체외충격파쇄석술이나 요관경 수술을 시행해서 결석을 조기에 제거하는것이 가장 좋을것 같다.

 

물론 비뇨의학과에서 검사했을때 결석의 크기가 4mm 미만인 경우는 물을 좀 드시면서 자연적으로 빠지도록 해볼수 있는데, 저 유투버가 말한 몸을 거꾸로 하는것보다 물을 많이 먹으면서 줄넘기, 뜀뛰기 등을 하면서 중력방향에 가속도를 더 붙이는 방법으로 하는것이 오히려 더 요로결석을 치료하는게 낫지 않을까 한다. 

 

 

Posted by 두빵
2020. 9. 6. 12:25

최근에 아는 지인분이 운동하면서 크레아틴(creatine)을 복용하는데, 건강검진에서 콩팥기능이 57% 나와서 걱정하면서 나에게 물어보는 일이 있었다. 이에 관심을 가지고 크레아틴이라는 보충제에 대해서 잠시 찾아보았다.

 

일단 크레아틴은 의료기관 건강검진할 때 신기능검사를 하는 크레아티닌(Creatinine) 이라는 혈액수치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단 그림을 보자.

 

 

위 그림을 보면서 몇가지 정리를 하자.

 

1. 우리몸에 크레아틴은 대부분(94%)은 근육(심장근육도 포함)에 저장되어 있다. 그외 소량이 뇌,망막,정자에 일부 있다.

2. 근육에서는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ATP와 크레아틴 물질이 반응하여 에너지를 얻고 포스포릴화크레아틴으로 변성된다.

3. 근육의 크레아틴과 포스포릴화크레아틴은 혈관, 콩팥을 통해서 소변으로 배출된다.

4. 먹는 크레아틴 외에도 우리몸은 신장에서 아르기닌, 클라이신이 간으로 가서 메티오닌과 결합하여 크레아틴이 생성되기도 한다.

 

운동선수들은 기록단축을 위해서 근력의 힘을 키우기에 힘쓰는데, 금지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anabolic steroid)를 대신하여 1990년대에 영국의 스프린터들이 크레아틴을 복용하여 성공한 이후로부터 최근에 많이 쓰이게 되었다.

 

우리몸은 근육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얻어야 하는데 중학교 생물시간에 배웠듯이 ATPADP로의 변환과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심한 운동시 단 몇초만에 ATP가 다 소진된다. 이후 포스포릴화크레아틴이 ADPATP로 바꾸어 10초까지 에너지를 공급할수 있다.  이때 인위적으로 크레아틴을 복용하게 되면 포스포릴화크레아틴의 농도에 영향을 주고 이게 ATP를 더 증가하여 근육의 능력이 더 늘어날수 있다는 것이다.

 

찾아보니 운동선수들은 크레아틴을 복용할 때 하루에 20-30g 의 부하용량(loading dose)를 거쳐서 이후 하루에 2-5g으로 유지하는 것 같은데, 아마도 이것은 우리몸의 크레아틴 배설능력이 하루 2g 이라는 사실에 맞춰서 정해놓은 것 같다.

 

우리가 보통 정상적으로 먹는 음식으로 원래는 하루 유지용량을 다 채울수 있는데, 인위적으로 근력을 위해서 크레아틴을 더 복용한다면 당연히 위 그림의 대사과정을 통해서 우리몸의 혈액내의 크레아티닌 수치를 올릴수 있다.

 

보통 건강검진에서 콩팥기능을 알려줄 때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과 나이를 사용한 공식으로 표시하는데, 최근에는 MDRD 공식을 많이 사용한다. 이것의 문제점은 정상인의 콩팥기능 수치를 약간 적게 표시할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한다.

MDRD 공식 (대한신장학회) : www.ksn.or.kr/sub10/sub_n_03.html

 

처음에 말한 지인은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1.4 mg/dl 이였으며 MDRD 공식으로 나온 것이 57% 라고 되어 있어서 아마 콩팥기능이 좀 떨어져 있다라는 결과를 통보받았을 것이다.

 

따라서 이분은 크레아틴 복용을 좀 멈춰보고 나중에 건강검진을 다시 해보면 정상으로 좀 나오지 않을까?

 

[참고문헌]

Wyss M, Kaddurah-Daouk R.  Creatine and creatinine metabolism. Physiol Rev. 2000 Jul;80(3):1107-213. 

Posted by 두빵
2020. 4. 25. 18:02

모 약사 유투버분의 논란으로 요새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가 논란인데, 이에 대한 정확한글들이 별로 없어서 잠시 짬을 내서 글을 써본다.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의 특징적인 피부병변, 빨간색 피부바탕에 수포(물집)이 있다. 출처 : https://www.thedermspecs.com/medical-services/herpes-simplex-virus-hsv-2/

 

안그래도 요새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때문에 바이러스 질환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헤르페스 질환도 바이러스 질환이다. 단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코로나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이지만,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이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약 100종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인간에게 전염을 일으키는 건 약 8종류라고 알려져 있다.

헤르페스바이러스 1,2형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성병(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TI) 이고, 3형은 varicella-zoster virus로  어릴때 수두(Chickenpox), 나이가 들어서는 대상포진(Herpes zoster) 질환을 일으킨다. 4형은 Ebstein-barr virus로 일병 키스병으로 알려져 있는 감염성 단핵구증(infectious mononucleosis)를 일으키고, 5형은 cytomegalovirus로 거대세포감염증을 일으킬수 있으며, 6형과 7형은 2세 이하의 아이에게 갑자기 고열뒤에 발진이 나타나는 돌발진(exanthem subitum)을 일으킬수 있고, 마지막 8형은 에이즈때 나타나는 암인 카포시육종(Kaposi's sarcoma)를 일으킨다. 

 

요새 유행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지금 현재 약도, 백신도 없다고 해서 난리인데, 바이러스 질환 자체가 원래 대부분은 약이나 백신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다행히도, 성병인 1,2형과 3형 그리고 5형은 치료약이 개발되어 있다. 특히 3형은 백신까지도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제 그럼 성병인 1형과 2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헤르페스 1형과 2형은 보통 성병으로 전염되어 우리 피부의 신경에 숨어서 잠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지는 잘 모르지만 간접적으로는 이 바이러스를 가지게 되면 반응하는 항체를 조사해서 알수가 있다.

발표된것을 보면, 미국의 경우 30세까지 50-80% 사람들이 1형 항체에 양성반응을 확인했고, 50대에 가면 거의 90%에서 1형항체에 양성반응을 보인다고 한다. 2형의 경우는 나이는 특정하지 않았지만 약 20-80% 에서 양성반응을 보인다고 한다. 2형의 경우는 여성이 남성보다 양성율이 좀 더 많다고 한다.(참고문헌 1)

울나라는 2형에 대해 조사한 결과가 있는데, 20대에 22.6%, 40대에 32.3%에서 항체 양성반응이 나왔으며 우리나라도 여성이 남성보다 양성율이 좀 더 많았다고 한다. (참고문헌 2)

 

 

보통 1형은 입술과 얼굴에 잘생기고, 2형은 성기쪽에 잘생긴다고 알려져 있으나, 요새는 오랄섹스도 굉장히 많이 하는 시대라서 반드시 1형은 얼굴, 2형은 성기 그런것이 아니라 1형이 성기쪽에 생기는 경우도 많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성병이므로 접촉때문에 생기는데, 헤르페스를 가지고 있는 피부병변, 그리고 헤르페스를 가지고 있는 침이 서로 접촉되면 전염이 가능하며, 이때문에 오랄섹스인경우 1형이 자주 성기쪽에 생길수도 있다. 또한 코로나바이러스도 요새 무증상 전염으로 주의해야 한다고 하는데, 헤르페스 1,2형도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에 성관계를 할때도 전염이 가능하다. 

 

 

자신이 헤르페스 1,2형을 지금까지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라고 확인된 분들은 이 전염을 막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좋은건 성관계를 안하는것이다. 그러나 하고 싶을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서로 헤르페스 질환이 없다고 확인된 일정한 성파트너와 성관계를 계속 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그리고 만에 하나를 예방하기 위해서 무조건 성관계할때마다 라텍스 콘돔을 사용하도록 한다. 물론 라텍스 콘돔이 성기의 모든부분을 커버해서 가려줄수 없기 때문에 혹시나 성파트너가 헤르페스 1,2형을 가지고 있는 경우 100% 전염을 예방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상당부분 전염빈도를 낮출수 있다. 

 

 

그럼 헤르페스 1,2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성관계할때 어떻게 감염빈도를 줄일수 있을까?

무조건 앞서 이야기했듯이 100% 예방은 안되지만, 최대한 감염을 줄이기 위해서 라텍스 콘돔을 성관계할때마다 사용해야 하며, 헤르페스 1,2형의 증상 (예를 들면 피부가 빨갛게 되는 발적, 피부에 생기는 수포, 피부에 딱지)이 있을때는 오랄섹스를 포함하여 성관계를 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무증상일때도 전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조심하자.

또한 더 적극적으로 예방할려고 하면 증상이 없더라도 헤르페스 치료약을 매일 꾸준히 먹는 방법을 쓰면 되는데, 이것은 현재 우리나라 건강보험 체계에서는 비보험치료이기 때문에 전액 약값을 본인이 부담해서 매일 먹어야 한다. 언제까지 먹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없지만 보통은 수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발생빈도를 낮출수는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1. Herpes simplex virus type 2 in the United States, 1976 to 1994. N Engl J Med.  1997; 337(16):1105-11

2.Herpes Simplex Virus Type 2 Seroprevalence in Korea: Rapid Increase of HSV2 Seroprevalence in the 30s in the Southern Part jkms.2007.22.6.957

3. https://www.cdc.gov/std/herpes/stdfact-herpes.htm

 

STD Facts - Genital Herpes

Genital Herpes - CDC Fact Sheet Genital herpes is a commo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 that any sexually active person can get. Most people with the virus don’t have symptoms. Even without signs of the disease, herpes can still be spread to sex part

www.cdc.gov

 

 

Posted by 두빵
2020. 4. 23. 12:14

요새 전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Covid 19) 때문에 고생하는 와중에 드디어 서서히 이 바이러스 재난을 극복할수 있는 전환점이 보이는것 같아서 안심이다. 그런데 다 완치되었다라고 생각했던 환자에게서 다시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를 하니 재양성이 되었다고 하는 결과들이 좀 나와서 조금 혼란이 있는것 같다. 

 

아직까지 재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경우, 이것이 진짜 재활성되어서 다시 감염을 일으킬수 있는지는 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예상하기로는 다 죽은 바이러스 시체가 검사로 확인이 되어서 그런 것으로 생각된다. 즉 임상적으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죽은 바이러스 시체인데, 코로나바이러스 검사(RT-PCR)가 매우 예민한 검사라서 조각조각 남아있는 바이러스 시체인 RNA를 RT-PCR 검사가 확인하고 양성이라고 결과를 내놓기 때문일것이라고 조심스레 예견해본다. 

 

우선 코로나바이러스 검사원리는 이전 글에서 설명했었다.

https://urologist.kr/38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검사방법은 rRT-PCR 방법입니다.)

 

우리가 흔히 세균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PCR 방법을 많이 쓰는데, 코로나바이러스 검사처럼 모든 PCR 방법은 임상적으로는 의미가 없는 죽은 바이러스 시체를 확인하고 양성이라고 결과를 내놓는 경우가 간혹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전문적인 용어로는 위양성(false positive)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출처: http://chiroguides.com/index.php/articles/how-can-you-hit-a-target-you-cant-see

 

우리가 의료기관에서 성병이 의심되어서 성병검사를 할때 이때도 PCR방법을 쓰는데, 이럴때도 가장 문제가 되는것중 하나가 임상적으로 의미가 없는 죽은 바이러스를 양성이라고 결과를 내놓는 위양성 결과를 어떻게 하면 최소화하는가이다. 이것을 줄이기 위해서 보통은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조건처럼 여러가지 임상적인 조건들, 예를 들면 확진자와 접촉한 경험이 있다든지, 의사가 진찰후 성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이라든지 그런경우로 한정하는 이유가 다 위양성 결과를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 포함되어 있다. 

 

성병이 의심되어서 의료기관에서 PCR검사를 할때는 항상 의사가 진료를 한뒤에 검사를 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위양성을 최소화 할수가 있다. 그런데 성병치료를 다 끝내놓고 나서 과연 다시 이 균이 다 없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시 PCR검사를 해야 알수가 있는데, 그럼 그런경우가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검사에서 재양성 문제랑 비슷할수가 있다. 물론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검사는 주기적으로 재검사를 해서 위양성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중이긴 하지만, 의료비를 생각하면 이에 대한 비용상승때문에 논란이 되듯이 성병치료에서도 의료비상승이라는 문제가 있을수 있다. 

 

따라서 성병치료후에 언제 다시 이 균이 다 없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재검사는 보통 다 치료끝나고 기간을 둔 다음에 재검사를 진행하는데, 각 균에 따라서 그 기간이 조금씩 다 다르다. 이것을 각 항목별로 찾아보면

 

1. 임질 (Neisseria gonorrhea) : 일반적으로는 재검사 할 필요 없다. 단 목부분의 후두에 생긴 임질의 경우 이전치료가 다 끝난뒤에 2주뒤에 재검사.

 

2. 클라미디아 (Chlamydia trachomatis) : 재발이 의심되는 경우라면, 이전치료가 다 끝난뒤에 3주뒤에 재검사. 

 

3. 세균성 질증 (Gardnerella vaginalis) : 일반적으로는 검사할 필요 없으나, 증상이 의심된다면 언제든 재검사. 

 

4. 트리코모나스염증 (Trichomonas vaginalis) : 치료가 다 끝난뒤 2주뒤에 재검사. 

 

 

추가적으로 위의 재검사가 다 음성이 나와서 별 이상이 없더라도, 임질, 클라미디아, 트리코모나스 염증은 재감염 비율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다 끝나고 난뒤 3개월뒤에 다시 재검사를 하는 것이 더 좋다. 

 

나머지 성병에 대해서는 왜 말이 없냐고 하면, 나머지 성병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충분한 데이터가 쌓이지 않아서 이에 대한 가이드 라인이 없는 경우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어도 아직 언제 재감염 검사를 해야 하는지 가이드라인도 아직 마련되지 못한것을 보면 이에 대한 연구가 힘든가 보다. 

 

 

[참고문헌]

https://www.cdc.gov/std/tg2015/urethritis-and-cervicitis.htm

 

Diseases Characterized by Urethritis and Cervicitis - 2015 STD Treatment Guidelines

Diseases Characterized by Urethritis and Cervicitis Urethritis Urethritis, as characterized by urethral inflammation, can result from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conditions. Symptoms, if present, include dysuria; urethral pruritis; and mucoid, mucopurulen

www.cdc.gov

 

 

Posted by 두빵